Exhibition

특별전 / Special Exhibition

다게르의 밤

<다게르의 밤 : 두 번째 사진술에 대하여>

다게르(Louis Jacques Mandé Daguerre, 1787~1851)는 원래 디오라마를 그리는 화가로 1824년 디오라마 전용극장을 개관하였다.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와 관련하여 사진술 연구를 시작한 뒤 1829년 니엡스와 동업 계약을 맺어 기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지만 4년 뒤 니엡스의 사망 후에는 홀로 연구를 지속하였다. 그는 얇은 은막을 씌운 구리판에 요오드화은으로 감광막을 만들어 빛에 노출시킨 다음 수은 증기로 현상하는 이 기술을 자신의 이름을 붙여 다게레오타입(Daguerréotype)이라 하였다.

이후 다게르는 약 50킬로그램의 장비를 수레에 싣고 파리의 기념물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술을 발전시킬 후원자나 사업가를 찾았지만 여의치 않았으나, 곧 프랑스 정부가 매입하여 공표(1839년 8월 19일) 하였다. 다게레오타입은 금속판 위에 직접 상을 찍어내기 때문에 복제가 안되지만 선명한 이미지로 초기 사진가들에게 인기를 누렸다. 《다게르의 밤-두번째 사진술에 대하여》는 스페이스 중학 개관 1주년 기획전(2022년 3월- 5월, 이원균, 김대수 공동 기획)으로 다게르가 자신의 발명품을 홍보하기 위해 유명 인사나 재력가를 만나러 다니던 장면을 상상하면서 영감을 받아 만든 전시이다. ‘두 번째 사진술에 대하여’는 최초의 사진인 니엡스의 ‘헬리오그래피(Heliography)’ 이후에 여러 사진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진가와 대중들이 다게레오타입을 선호하였다는 점에서 부제로 사용하였다. 전시장에는 19세기 풍 거실 가구를 배치하고 1840-50년대 제작된 다게레오타입과 현대 작가(Chuck Close, Jerry Spagnoli 등)의 다게레오타입 작품집, 이원균, 김대수의 작품 그리고 전 세계에서 출판된 약 40여 권의 관련 도서를 함께 전시한다. 이번 2022 BIPF를 위하여 특별히 초대형 다게레오타입(8×10inch)인 “말Ⅰ”과 다양한 다게레오타입을 추가로 선보인다.

Louis Jacques Mandé Daguerre (1787-1851) was originally a diorama painter who opened a theater dedicated to diorama in 1824. After starting research on photography relating to the camera obscura, he partnered with Niépce in 1829 to develop the technique, but after Niépce’s death four years later, he carried on with his research alone. He created a technique of making a photosensitive film of silver iodide on a copper plate coated with a thin silver film, exposing it to light, and developing it with mercury vapor, and named it “Daguerréotype,” after himself. Later on, Daguerre traveled with his equipment loaded onto carts which weighed about 50 kilograms photographing monuments in Paris in order to find a patron or entrepreneur, which ended up unsuccessful, but soon the French government purchased and published the technique (August 19, 1839). The Daguerreotype cannot be reproduced since it prints the image directly onto a metal plate, but it had a mass appeal towards early photographers because of its clear resolution. < The Night of Daguerre – About the Second Photography > is a special exhibition for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Space Junghak (March-May 2022, curated by WeonGyun Lee and Daesoo Kim), inspired by the imagination of Daguerre traveling around to promote his inventions to people with fame or wealth. ‘About the Second Photography> was used as a subtitle in the context that the Daguerreotype was preferred by photographers and the public despite there being various types of photography after Niépce’s ‘Heliography,’ the first photograph. The exhibition includes furniture that resembles a 19th century living room, daguerreotypes created in the 1840s and 50s, Art books of deguerreotypes by contemporary artists (Chuck Close, Jerry Spagnoli, etc.), works by WeonGyun Lee and Daesoo Kim, and about 40 related books from around the world. For the 2022 BIPF, the extra large daguerreotype (8x10 inch) “Horse I” and various other works will be exclusively shown.

다게르의 밤